본문 바로가기

★살아 가면서★

회귀본능 신경세포

728x90

회귀본능 신경세포


 

 


어제 술 먹고 필름이 끊겨서 하나도 생각이 안나. 그런데 집에는 용케 잘 찾아갔더라고. 회귀본능이란 게 정말 있나봐.”


술을 좋아하는 성인이라면 한번쯤 이런 넋두리를 해봤을 것이다. 이런 회귀본능은 사람 뇌에 있는 한 신경세포의 역할 덕이란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러시아 일본 등의 학자들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은 24일 학술단체 미국과학아카데미 웹사이트에 어떤 일의 순서를 기억하는 뇌 신경세포(뉴런)가 따로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신경세포는 뇌의 마루엽 안쪽에 있다. 연구진은 마루엽을 다치면 잘 아는 곳도 찾아가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했다. 피실험자에게 건물 안의 특정 방을 찾아가게 한 뒤 이동 순서를 기억토록 했다.

 

실험을 반복하자 피실험자가 특정 장소를 지나치거나 가야할 방을 떠올리기만 해도 마루엽 안쪽 신경세포가 활발하게 움직였다는 것이다. 마루엽은 뇌 중심 고랑의 뒤쪽과 바깥 고랑의 위쪽 사이에 있다.

 

 

마루엽은 외부 정보를 조합해 신체 동작을 명령하고 수학이나 물리학에 필요한 입체적, 공간적 사고를 할 수 있게 돕는다.

 

천재 과학자로 불리는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뇌는 좌우 마루엽 하단부가 일반인보다 15% 정도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유는??

 

간단하고 쉽게 설명하면 이렇고요.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메로리와의 관계입니다.


집에 찾아가는거는 하드디스크에 해당되는 뇌의 한부분에 저장되는 회귀본능 신경세포죠. 그래서 필름에 끊겨도(전원이 나가도) 계속 데이타는 남아있죠.

 

근데 필름끊기고 친구들과 떠들고하는 얘기는 메모리에 해당되는 거라서 기억이 없으면(전원이 나가면) 휙~지워지는 거죠.


전문적으로 설명하면, 이렇다고 하네요.


뇌는 부위마다 독특한 기능이 있고 서로 연관 작용을 하는데 알코올은 신경억제제로 작용해서 뇌의 기능을 억제한다. 주로 영향 받는 부위에 따라 ‘필름’이 끊기기도, 공격적이 되기도, 말이 많아지기도 하는 것. 사람마다 뇌의 취약한 곳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주사도 다르다.

 

‘필름 절단 사고’는 대뇌 옆부분 관자엽(측두엽)의 해마에서 기억을 입력 저장 출력하는 과정 가운데 입력과정에서 문제가 생긴 것.

 

알코올의 독소가 직접 뇌세포를 파괴하는 것은 아니고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전달 메커니즘에 이상이 생긴 것이다.필름이 끊길 때 뇌의 다른 부분은 문제가 없다면 다른 사람은 ‘사고’를 전혀 눈치채지 못한다.

 

 

이때엔 뇌가 저장된 정보를 꺼내고 사용하는데엔 이상이 없기 때문에 집에도 무사히 갈 수 있다.

 

 

또 뇌에 기억이 아예 입력되지 않았으므로 아무리 신통한 최면요법사가 최면을 걸어도'그때'를 기억할 수 없다. 필름이 계속 끊기면 비타민B의 일종인 시아민이 부족해 술을 마시지 않아도 필름이 끊기는'베르니케코르사코프 뇌증'에 걸릴 수도 있다.

 

필름이 끊긴다고 곧 알코올중독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술을 마실 때마다 끊기고 이 때문에 늘 문제가 따라다니는데도 술을 계속 마시면 중독. 병원에서 치료 받아야 한다.

'★살아 가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자리 예절.  (0) 2006.10.30
공기정화식물  (0) 2006.10.29
호감받는 사람들의  (0) 2006.10.27
어처구니 없는 연애 실수 20가지!  (0) 2006.10.27
만년솔로의공통점 10가지  (0) 2006.10.26